본문 바로가기
머니&경제금융정보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 대상 나이 금액| 인적 공제와 차이점 알아보기

by 올스토리 2025. 1. 21.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 대상 나이 기준 공제금액| 인적공제 차이점 알아보기

2025년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어요. 이번에는 자녀세액공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특히 나이 기준과 공제 금액, 그리고 기본 인적공제와의 차이점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 대상 나이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란?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는 자녀를 키우는 부모님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예요. 간단히 말해, 자녀가 있으면 세금을 조금 덜 내도록 해주는 거죠.

 

✅부양가족 자료제공 동의 신청하셨나요?

 

 

만 19세가 안되는 자녀는 '미성년자 신청' 메뉴를 선택하여 부모 자신의 인증서로 자료 제공 동의를 신청하면 됩니다. 


자녀세액공제는 자녀의 수와 나이에 따라 세금을 감면해주는 제도인데요. 첫째, 기본공제와 두번째 출생/입양 공제로 분류됩니다. 

기본 공제는 자녀 수에 따라 세액을 공제해 주는 것이고 출생/입양 공제는 2024년에 출생이나 입양한 자녀가 있는 경우에 추가로 세액공제를 해주는 것입니다. 

 

부양가족 등록했다면 자녀세액공제 조회 가능합니다.  

 

 

올해 연말정산부터 자녀세액공제 금액과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다음 단락에서 알아볼게요. 

자녀세액공제 나이 기준

2025년 연말정산(2024년 소득분)부터 자녀세액공제의 나이 기준이 바뀌었어요.

  • 대상 연령: 만 8세 이상 ~ 만 20세 이하
  • 해당 출생연도: 2004년생 ~ 2016년생

이전에는 만 7세부터였는데, 이제는 만 8세부터 적용돼요. 꼭 기억해두세요!


그리고 소득과 주민등록 관계 조건도 있습니다. 

  • 소득: 연간 소득 100만원 이하
  • 주민등록상: 주민등록 부모와 자녀의 관계

 

당연히 주민등록상 부모와 자녀로 되어 있어야 받을 수 있는 것이고요. 소득은 자녀가 연간 소득이 100만원이하 인 경우에 해당해야 합니다. 알바로 연 소득이 100만원이 넘는 경우가 아니라면 됩니다.   

자녀세액공제 금액


자녀세액공제에서 기본공제 조건은 자녀의 수에 따라 공제 금액이 달라져요.

  • 자녀 1명: 15만원 
  • 자녀 2명: 35만원 
  • 자녀 3명 이상: 35만원 + 2명 초과하는1명당 30만원 (3명 65만원)

자녀가 2명이면 35만원, 자녀가 3명이면 65만원, 자녀가 4명이면 95만원, 5명이면 125만을 세금에서 빼준다는 뜻이에요.

이번에 자녀가 2명이상인 경우 기존 30만원에서 공제금액이 5만원 증가하여 35만원 공제해주는 것으로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 금액

출산 및 입양 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 기본 공제 외에, 2024년에 아기를 낳았거나 입양했다면 추가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 첫째: 30만원
  • 둘째: 50만원
  • 셋째 이상: 70만원

이 혜택은 아기가 태어나거나 입양한 해에 한 번만 받을 수 있으며 자녀세액공제 기본공제와 중복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 대상 나이

인적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

 

연말정산에서 인적공제와 세액공제가 있는데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른 개념이에요.

  1. 인적공제
    •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빼주는 방식
    • 자녀 1명당 150만원을 소득에서 공제
    • 세금을 계산하기 전에 적용돼요
  2. 세액공제
    • 계산된 세금에서 직접 일정 금액을 빼주는 방식
    • 자녀 수에 따라 15만원~65만원을 세금에서 공제
    • 세금을 계산한 후에 적용돼요

쉽게 말해, 인적공제는 소득에서 빼고 세금 계산을 하는 것이고 세액공제는 세금에서 직접 빼주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부양가족 공제는 인적공제(소득공제)에 해당되어서 연간 소득에서 해당하는 부양가족 1인당 150만원을 빼고 세금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부양가족공제는 아래 글에서 자세히 확인하세요.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본공제 요건| 배우자 자녀 부모님 소득 나이 확인하기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본공제 요건 등록 기준| 배우자 자녀 부모님 소득 나이 확인하기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본공제 요건 등록 기준| 배우자 자녀 부모님 소득 나이 확인하기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많은 직장인들이 부양가족 기본공제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됩니다. 부양가족 기

about-certificate.tistory.com

 

자녀세액공제는 소득에서 계산되어 나온 세금에서 일정한 금액을 빼서 환급해주는 것입니다. 

 

주의할 점

  1. 부부가 맞벌이라면 한 사람만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2. 자녀의 연간 소득이 100만원을 넘으면 공제를 받을 수 없어요. (단,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500만원까지 가능)
  3. 손자녀도 부모가 모두 장애인이라면 조부모가 공제받을 수 있어요.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 자주 묻는 질문

연말정산과 자녀세액공제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질문들을 모아봤어요.

 

  1. 자녀세액공제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회사에서 제공하는 연말정산 신청서에 자녀 정보를 정확히 기재하시면 돼요. 주민등록등본이나 가족관계증명서로 자녀 관계를 증명해야 해요.
  2. 자녀가 만 7세인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나요?
    2025년 연말정산부터는 만 8세 이상부터 공제 대상이 돼요. 하지만 만 7세 이하 자녀에 대해서는 자녀장려금을 신청할 수 있어요.
  3. 이혼한 경우 자녀세액공제는 누가 받나요?
    실제로 자녀를 부양하는 부모가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양육비를 지급하는 부모라도 함께 살지 않으면 공제 대상이 되지 않아요.

이러한 질문들을 통해 자녀세액공제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궁금한 점이 더 있다면 국세청 홈택스나 전문가와 상담해보는 것도 좋아요.

 

✅같이 보면 좋은 글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본공제| 배우자 자녀 부모님 소득 나이 확인하기

 

🔎 2025년 무슨띠 삼재띠 대박띠 총정리

 

🔎일용직 주민세 계산방법 | 소액부징수 기준

 

 

마무리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 나이 기준 공제금액| 인적공제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말정산은 복잡해 보이지만 차근차근 살펴보면 그리 어렵지 않아요. 자녀세액공제를 잘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어요. 꼼꼼히 확인하고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반응형